IT/Synology NAS2015. 9. 16. 11:21

DS215j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말 정말 어렵게 깔았네요..

실제 설치 방법은 여기저기 많으니 따라하심 됩니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imkim0313&logNo=220430743547&parentCategoryNo=&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

 

아. 이 링크는 NAS가 아니라 웹서버(PC)에서 설치시이니 pydio설치부분만 보시면 됩니다.


다만 리눅스 및 나스를 잘모르시는 분들.. 저같은 사람을 위해서 몇가지만 첨언하고자 합니다.

일단, 이미지 없고 풀텍스트로만 합니.. 쿨럭..

 

 

[pydio설치전]
1. PhpmyAdmin과 mariaDB를 설치합니다. 이때 암호는 잘 기억해두세요..


PhpmyAdmin을 설치를 다 하고 경로/phpMyAdmin으로 웹주소를 기재하면 root(admin이 아닙니다..) 암호를 입력해야 하는데..  이거 기본이 암호 없음이므로 빈칸으로 그냥 root에 "실행"하시면 됩니다.

저는 설치는 전에 했다가 다시 재도전인데, 원래 암호가 없었는데 암호를 수정한 줄 알고 한참 해맸다는..

하지만 반드시 암호는 바꿔줘야 합니다. 외부로 공개되는 순간, 암호가 없으면 털릴 확률이 넘 높습니다.

뭐, 중요한 자료야 있겠습니까만(그녀들..?), 그래도 재설치하고 그냥 암생각없이 모았던 자료라도 다 날려먹음 눈물좀 나겠지요...

 

2. 공유기 설정
그리고, 내부 같은 망에서 작업하시면 상관없는데, 외부(저같이 회사에서 일안하고 이딴 짓(!) 하는 경우에는.. 켁..) 반드시 공유기의 포트를 확인해야 합니다.

뭐, DSM으로 붙여서 보시기 위해 기본적으로 5050은 포트포워드 하셨을 겁니다.


이것처럼 외부에서 작업하시려면 나스연결용으로 5050번, phpMyAdmin용으로 9091번이 열려 있어야 하고 Putty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SSH를 사용해야 하는데, 기본이 22번입니다.

(근데, 전 이거 2212로 바꿔썼습니다.(왜 바꿨는지 기억은..) 이거 땜시 연결안되는 이유를 몰라서 한참 고생을.. 아마 해킹 가능성이 높은 기본포트라서 바꿔쓴거 같긴 합니다만..)

음.. 이거 외에는 대충.. 다른 분들이 설치안내기 써놓으신거 보면 큰 문제 없습니다.


[pydio설치]
맨처음 문제는 과연 pydio파일을 어디다 복사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공유폴더 리스트를 보면 web 라는 기본 공유폴더가 있습다. 여기에 넣으심 됩니다.  web 밑에 넣으심 되는데, 여튼 복사를 하면 접속주소/pydio설치폴더로 접근하면 실제 설치가 진행됩니다.

다행히 안의 내용이 전부 상대경로인거 같아서 다행이지만(폴더명을 바꿔도 바로 됩니다만, 경험상 폴더명을 바꾸면 재설치하는게 낫습니다), 이 web 밑에 폴더를 만들면 접속시 주소/폴더명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주소가 . abc.iptimg.org 인데 pydio폴더명을 그냥 pydio로 했다면,  http://abc.iptimg.org/pydio 로 해야 합니다.게다가 해보니.. 폴더명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는거 같더군요.

원래 DDNS를 사용하려니 주소명도 좀 복잡한데, 뒤의 폴더명까지 쓰려니 무지무지 복잡하니, 걍.. 폴더명을 "1"로 하시는건 어떨지..

그러면 http://abc.iptimg.org/1 로 접속하면 되는거죠.

 

여기서 웹문서중에는 리눅스 시스템 답게 파일(또는 폴더?)의 권한을 변경하는 얘기가 있습니다만, 이건 그냥 현재 로그인하고 있는 아이디가 web폴더를 읽기/쓰기 할수 있으면 됩니다.

파일 복사는 그냥 로컬 네트워크 상에서 하면 되는데, 당연히 web폴더를 열려면 NAS에 등록되어 있는 아이디로 하겠지요?? 그 아이디가 web폴더를 읽고 쓸수 있으면 된다는 겁니다.

전 복사했던 아이디와 로그인 아이디의 폴더권한이 달라서 한참 삽질했습니다.

 

복사가 완료되면 접속주소/pydio설치폴더 로 웹주소를 오픈하면 기본 설치가 시작됩니다.

 

만약 이때 특정폴더(또는 파일)의 수정권한(write)이 없다면 위에 쓴 권한을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실제 설치는 인터넷에서 찾아보세.. 쿨럭..

주의점은 Admin설정할때입니다. admin은 꼭 admin이나 root로 안하셔도 되고 그냥 자주 쓰는 아이디 써도 됩니다. 마스터 아이디를 설정하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되고 나중에 보니까 마스터 권한은 나중에 추가로 다른 아이디에 부여도 가능하더군요.
암호가 무지 길고 복잡해야 합니다. -.-;;

 

[pydio실행]
pydio 설치가 완료되면 그냥 웹페이지가 백지가 됩니다만, 주소에서 엔터를 치면 이제는 설치가 아닌 pydio로그인이 뜹니다.

위에서 말한것 처럼 다른 외부에서 접속할 때 접속주소/폴더명까지 치라고 하는게 문제라면 문제겠지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설치에서 얘기한것처럼 설치폴더명을 "1"등 짧은걸로 만드는 겁니다. 가장 간단하고 무식(!)한 방법이죠.

좀 신경쓴다면? web폴더의 index.html을 수정하는 겁니다. 이방법은 기본적으로 NAS에서 홈페이지는 아예(!) 운영하지 않고 웹하드용으로만 쓰겠다는 전제로 합니다.

 

뭐, 홈페이지 만들줄 아시는 분은 대충 감이 오실겁니다만...

web폴더에 보면 index.html이 있습니다. 이 파일을 그냥.. rename해 버립니다.

그리고, 메모장을 열고 다음을 복사해 넣습니다. 여기서 설치폴더는 pydio로 가정합니다. 1 이면 pydio대신 1 쓰면 됩니다.


<HTML>
<HEAD>
 <meta charset = "UTF-8"> 
  <TITLE>Web Hard</TITLE>
 <frameset rows = "100%, 0%">
 <frame src = "http://abc.iptimg.org/pydio">
 </frameset>

</HTML>
</HEAD>

그리고 이 메모장을 index.html로 저장후 web폴더에 복사합니다. 그러면, abc.iptimg.org에 접속하면 바로 웹하드가 뜨게 됩니다. 그리고 frame처리 했기 때문에 주소창이 변경되거나 하지도 않습니다.

기본적인 http://abc.iptimg.org가 남아 있는거죠.

 

여기에 더 추가한다면...

아예 내 도메인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일단 DDNS의 사용은 어쩔수 없습니다. 내 NAS의 IP는 언제 바뀔지 모르죠(그야말로 통신사 마음.. 전 거의 1년째 같은 IP를 쓰고 있긴 합니다만.. 여튼 그게 싫으면 고정 IP서비스 받으심 됩니다만.. 그돈으로 까까 사드세..).

적당한 도메인업체에 내 도메인을 등록(이라고 쓰고 구매라고 읽는다. 당연히 도메인은 년단위 과금이 있습니다)합니다. 등록이 되면 포워드를 신청하면 됩니다. 이 도메인에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어디로 보내달라.. 뭐 그러는거죠. 이때 포워딩을 DDNS로 신청하면 됩니다. 등록을 하면 보통 전체로 퍼져나가는 시간이 있어서 하루정도 걸릴겁니다만, 내 도메인이 있거나, 위의 iptime.org이딴게 싫고 짧게 쓰고 싶다면 돈으로 해결을...(쿨럭..) 값은 보통 싼게 .kr이 1만원(1년)이 조금 넘습니다.

 

[설치후 발생되는 문제점 해결]

설치도 뭐 할만하구요(보급형인데도 설치가 그렇게 느리진 않더군요).

그런데, 명색이 웹하드인데.. 업로드가 쬐..끔만 되면 문제겠지요?? 일단 기본이 32M입니다. 그 이상은 안올라가요.

물론, 수정하면 됩니다(!).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blog.naver.com/kimkim0313/220436769722

 

 

그 설정이 PHP.ini에 있습니다. 이 PHP.ini를 수정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그냥 putty 등을 사용해서 vi로 수정하는게 가장 편하더군요. 이것 역시 찾으면 무지무지 많이 나옵니다만..

여튼, 그렇게 PHP.ini를 수정하고 나서  pydio의 설정(admin으로 설정한 ID로 로그인해야 합니다) - Application Core - Uploader Option의 Limitations에 보면 File Size가 있는데 이걸 PHP.ini의 MAX_UPLOAD_FILESIZE의 용량과 같거나 조금 작게 설정해주면 됩니다.

 

근데 이걸 저장했는데도 File size가 원상복귀가 된다면??

이건 PHP.ini수정에 뭔가 삽질이 있었다는 겁니다.

첫번째가 실수로 MAX_UPLOAD_FILESIZE가 두개 있을 수 있습니다. 뭐.. 이건 봐서 하나 지우면 됩니다.

 

하지만 이건 도리어 가능성이 거의 없는거고, 그것보단 어디에 있는 PHP.ini을 읽느냐가 문제가 됩니다. 전 인터넷상에서 말하는 위치, /usr/syno/etc에 PHP.ini를 믿었고 또한 Config File Editor이라는 프로그램에서도 자동으로 저 위치를 열어줬는데,

실제 제 NAS는 전혀 다른 위치를 보더군요.

이거 알아내는게 꽤 걸렸습니다.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아까 index,html만들듯이 메모장 열어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딱 한줄입니다.

 

<? phpinfo(); ?>

 

그다음, phpinfo.php라고 파일명으로 저장한 다음 이 파일을 web폴더로 복사합니다. 그리고 이 php을 웹브라우저에서 실행합니다. 도메인이 http://abc.iptimg.org라면 그냥..

http://abc.iptimg.org/phpinfo.php를 주소창에 치면 됩니다.

그러면 PHP Version과 PHP관련 설정을 표로 쫘~악.. 나열해줍니다.

딴건 잘 모르겠구요.. 여기서 필요한거는 Loaded Configuration file입니다. 이게 실제 웹서버가 읽어들이는 PHP.ini경로입니다.

결국 이건 방법이 딴게 없고 putty등으로 로긴해서 해당경로로 이동한 다음 vi로 다시 파일을 편집하는 수밖엔 없더군요.

이거 수정하고 pydio설정을 다시 수정하니.. 됩니다.. ㅠㅠ

아무도 안알려주셨는데 SLR클럽의 작은꼬마님께서 주신 조언으로(첨엔 이것도 뭔소린지 몰랐...) 찾은 방법입니다(아시는 분은 다 아시겠지요...??)

 

[아직 미해결]

업로드는 해결했는데 다운로드가 좀 불편합니다.

아마 Synology의 disk station을 사용해도 올리는건 정말 간단하게 파일을 그냥 올리기만 하면 되는데, 문제는 다운을 받을때는 무조건 압축을 해버리는 군요.

이것만 해결되면 좀 편하게 쓸수 있을거 같기도 합니다만, 이걸 하는 국내업체는 대부분 웹이 아닌 activeX로 했을 가능성이 높아서 좀 아쉽습니다.

 

지금까지 시놀로지 NAS에 pydio설치에 대해 얘기했습니다.

생각보다 많이 안쓰셔서 관련문서가 없어서 고생좀 했습니다. ㅠㅠ

나중에 같은 삽질을 안하시기를 바라면서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Posted by 비와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