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 USE \\서버이름\폴더명 I:/delete
2. 연결하기
net use "\\192.168.1.211" /user:"printers" "dkagh"
Delphi 2007에서는 Tee Chart와 QuickReport가 연동되지 않는다.
퀵리포트를 pro버전 사면 되는거 같긴 한데, 확실치는 않고..
그래서 델마당에 문의한 결과, metaFile로 받아서 이미지로 출력하는 방법을 얻어냈다.
(대단하신 분이다.. ^^)
그걸 내 입맛에 맞게 조금 수정했다.
procedure TfrmChartPrt.qrpChartLandScapeBeforePrint(Sender: TCustomQuickRep;
var PrintReport: Boolean);
var
mtMeta : TMetaFile;
alAlign : TAlign;
begin
alAlign := gchtChart.Align; //속성백업
gchtChart.Align := alnone; //속성을 초기화 한다.
gchtChart.Width := qimgLandScape.Width;
gchtChart.Height := qimgLandScape.Height;
mtMeta := gchtChart.TeeCreateMetafile(TRUE, gchtChart.GetRectangle);
qimgLandScape.Picture.Metafile.Assign(mtMeta);
gchtChart.Align := alAlign; //백업된 속성을 복구한다.
end;
VCL에서 ShowMessage나 MessageDlg는 모두
TForm을 상속받은 TMessageForm을 생성해서 ShowModal로 띄워 주는것입니다.
TMessageForm클래스를 개발자에게 노출되어 있지는 않지만
CreateMessageDialog 라는 함수를 통해 생성할수 있습니다.
CreateMessageDialog 라는 함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MessageBox의 기능을 변경해 보았습니다.
님께서 원하시는것은 아래에 있는것중 MessageDlgEx 일듯 하네요
//============================================================================
//메세지박스의 Title을 변경
procedure ShowMessageEx(const sTitle:String;const sMsg:String);
begin
with CreateMessageDialog(sMsg, mtCustom, [mbOK]) do
try
Caption:=sTitle;
HelpContext := 0;
Position := poScreenCenter;
ShowModal;
finally
Free;
end;
end;
//메세지박스의 SystemMenu를 없앰
procedure ShowMessageEx2(const sMsg:String);
begin
with CreateMessageDialog(sMsg, mtCustom, [mbOK]) do
try
BorderIcons:=[];
HelpContext := 0;
Position := poScreenCenter;
ShowModal;
finally
Free;
end;
end;
//MessageDlg함수의 SystemMenu없앰
function MessageDlgEx(const Msg: string; DlgType: TMsgDlgType;
Buttons: TMsgDlgButtons; HelpCtx: Longint): Integer;
begin
with CreateMessageDialog(Msg, DlgType, Buttons) do
try
HelpContext := 0;
HelpFile := '';
Position := poScreenCenter;
BorderIcons:=[];
Result := ShowModal;
finally
Free;
end;
end;
//사용예..
procedure TForm1.Button1Click(Sender: TObject);
begin
ShowMessageEx('타이틀','메세지 입니다. 타이틀이 바뀌었나요?');
//-----------------------
ShowMessageEx2('X 아이콘이 안보이죠?');
if MessageDlgEx('수정하시겠습니까?',mtConfirmation, [mbYes, mbNo], 0) = mrNo then Exit;
end;
델마당에서..
http://www.delmadang.com/community/bbs_view.asp?bbsNo=17&bbsCat=0&st=&keyword=&indx=415548&keyword1=&keyword2=&page=1
1. 주석을 단 사람으로 이니셜을 쓰지 말자.
이게 이니셜을 쓰는 사람도 있고, 자기 아이디를 쓰는 사람도 있고 천차만별이다. 그런데, 가끔 보다보면 이게 이니셜등인지, 아니면 잘못친건지 구분이 안되는 인간들이 있다는 문제가...
가장 좋은게 자기 이름이다..
2. 가능하면 주석과 같이 작성한 일자도 기록하자.
특히 대단위 업데이트 작업을 하다보면 주석에 날짜를 넣는게 좋을때가 꽤 있다..
3. 소스 복사시 주석의 작성자 이니셜과 날짜는 없애라.
이거.. 꽤 문제가 생길때가 있다. 내가 한 3년전에 해놓은 건데, 누가 그걸 통째로.. 주석까지 카피를 해서 작업했는데, 그게 문제가 생겼다면... 괜하 나한테 와서 뭐라 그런다. -.-;
내가 한게 아니란 말이지...
설명이야 그냥 써도 상관없겠지만, 원작자, 작성일자등은 그냥 없애라...
Copy Right가 아니라 Copy Left다.. -.-;;
01.
while
어쩌구
do
02.
begin
03.
for
i :=
0
to
iCount -
1
do
04.
begin
05.
06.
if
저쩌구
then
07.
begin
08.
end
;
// <-- if 저쩌구
09.
end
;
// <-- for i := 0 to iCount -1
10.
end
;
// <-- while 어쩌구
각종 카페 자동 로그인 하는방법 [다음 자동로그인 주소]
https://logins.daum.net/Mail-bin/login.cgi?dummy=1011338727&id=아이디&pw=패스워드
[다음 카페메인 자동로그인 주소]
http://login.daum.net/Mail-bin/login.cgi?url=http://cafe.daum.net/?_top_target=cafe&webmsg=-1&id=아이디&pw=패스워드&loginmode=normal&x=20&y=5
[네이버 카페 자동로그인 주소]
https://nid.naver.com/nidlogin.login?id=아이디&password=패스워드&url=http://cafe.naver.com/hx4700
[세이클럽 자동로그인 주소]
http://www.sayclub.com/index.nwz/global/login.nwz?pageurl=http://www.sayclub.com/index.nwz&usrid=아이디&passwd=패스워드&conntypeenabled=1&conntype=1
[신비로]
http://www.shinbiro.com/ath/sbrComUserLogin_Main.jsp?sUserId=아이디&sPasswd=비밀번호
TAdvStringGrid를 사용하면 Balloon Hint가 있다. 말그대로 풍선도움말인데...
이쁘다. ^^;
변수는 다음과 같다.
Sender: TObject; ACol, ARow: Integer; var ATitle, AText: string; var AIcon: Integer
Sender : 이거야 머..
ACol : 현재 마우스가 올라가 있는 Col
ARow : 현재 마우스가 올라가 있는 Row
ATitle : 힌트가 뜰때 제목줄
AText : 힌트가 뜰때 실제 내역
AICon : 우측의 아이콘 모양 (아직 종류는 모르겠..)
근데 골때린게..
ACol과 ARow가 각각 -1이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그리드의 빈곳에 마우스가 멈춰 있을때인데..
(빈곳이라함은, 그리드는 큰데, 하단이나 우측에 셀이 없는 곳이 있다. 그걸 말한다. 값이 없는 셀을 말하는게 아님.)
이때 각각 -1이 리턴된다.
이런 망할.. -1을 리턴해주는 넘이 어디있냐.. 차라리 이벤트로 들어오질 말아야지.
여튼... Balloon이벤트 사용시 시작부분에 다음이 있어야 한다.
if (ACol < 0) or (ARow <= 1) then
exit;
아니면 List Index(-1) 에러난다..
리얼그리드 쓸때 이런게 좀 있긴 했지만.. 그래도 이건 아니잖아~